아파트 화재 원인과 소방 안전 점검,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업무

아파트 화재 원인과 소방 안전 점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는 대표적인 공동주택으로 주상복합 아파트, 다세대주택, 기숙사 등을 포함한 발생장소 비율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 화재는 4,868건으로 2022년 4,577건 대비 291건(6.4%)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아파트 화재원인


주요 화재원인


가장 큰 원인은 부주의로서 약 49.1%를 차지하였는데, 세부 원인으로는 담뱃불 부주의, 음식물 조리 중 화재 등이었습니다. 이어서, 전기적 요인으로 노후 전기시설, 과부하, 트래킹 등으로 인한 화재로 전체 아파트 화재의 약 20% 정도 차지합니다.

다음으로, 기계적 요인으로는 가전제품 과열, 기계 과부하 등으로 인한 화재로 약 10% 정도의 비중이고, 화학적 요인으로는 가연성 가스 누출, 화학약품 반응 등으로 인한 화재로소 5% 내외의 비율입니다. 기타, 방화 혹은 원인미상 등 기타원인이 약 15%를 차지합니다.

아파트 화재원인과 소방 안전 점검,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업무


아파트 화재보험 가입


화재가 일어나지 않으면 좋겠지만 사고는 일정한 확률로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아파트 및 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화재보험에 가입하는 것입니다.


16층 이상 아파트는 단체 화재보험 가입이 의무


현행 법령에 따르면 16층 이상의 아파트 및 부속건물은 손해보험회사가 운영하는 특약부화재보험에 가입하여야 합니다(화재보험법 5조 참조). 단체보험 보험료는 관리비를 통해 납입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단체보험만으로는 보장금액이 충분하지 않아 개별 화재보험 추가 가입이 필요하지만 강제사항이 아니라서 각 아파트 운영위원회별로 대책마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세입자와 화재보험


또한, 세입자의 경우도 화재보험에 가입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임대인이 화재보험에 가입되었더라도 세입자의 부주의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책임을 져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세입자는 임대인에게 원상복구의무가 있는데, 화재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다면 피해발생에 대해 보상을 해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만일, 옆집까지 불이 번져서 피해가 난 경우라면 문제가 더 심각해지는데 이는 노후 아파트 세입자들이 특히 조심해야 하는 점입니다.


소방 안전 점검


소방 안전 점검은 화재 예방과 인명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 혹은 운영위원회에서 특히 신경을 곤두세우는 문제가 바로 소방 안전 점검결과입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소방안전 점검 업무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소방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를 지정하고, 정기적인 소방안전 점검을 할 책임이 있습니다.


작동기능점검

  • 소방시설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
  • 모든 특정소방대상물에서 연 1회 이상 실시

종합정밀점검

  • 작동기능점검을 포함하여 설비별 주요 구성품의 구조와 화재안전기준 적합 여부 점검
  • 스프링클러, 물분무소화설비 설치 건물(5,000㎡ 이상), 제연설비 터널 등에서 실시

점검 방법 및 횟수

  • 작동기능점검 : 연 1회 이상, 각종 측정기구를 이용
  • 종합정밀점검 : 특급 대상물 반기별, 그 외 연 1회 이상

결과 보고 및 벌칙

  • 점검 결과는 30일 이내 관할 소방서에 제출
  • 미실시 시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
  • 미보고/거짓보고 시 200만원 이하 과태료


정기적인 소방 안전 점검을 통해 화재 위험을 예방하고 소방시설의 정상 작동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단체보험 가입과 관리, 개별 화재보험 가입안내, 소방시설 작동여부 점검, 비상구 등 대피로 확보 점검 등 결코 작지 않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관련 글 소개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신청조건 파헤치기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핵심정리

정부지원 전월세보증금 대출 4가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